공연모음

공유하기
찜하기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제166회 정기연주회 - 불멸의 클래식 시리즈 Ⅲ
- 일자2012-05-25(금) 19:30
- 장소 부천시민회관 대공연장
- 가격전 석 10000 원
- 연령초등학생 이상 관람
- 주최부천시
- 주관부천필
- 문의032-625-8330-2
공연소개
* 예매는 공연일 1일 전 저녁 6시까지 가능하며 공연 당일에는 저녁 6시 30분부터 공연장 앞 매표소에서 예매 잔여석을 현장판매합니다.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제166회 정기연주회 - 불멸의 클래식 시리즈Ⅲ
2012년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가 선사하는 불멸의 클래식 시리즈는 정통 클래식 고유의 아름다움과 위대함을 전달하기 위해 준비되었다. 한국적인 정서를 가장 잘 표현하는 작곡가이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교수로 재직중인 정태봉이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를 위하여 헌정하는 위촉곡을 시작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플루티스트 윤혜리가 라이네케 플루트 협주곡을 연주한다.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와 다수의 공연을 함께하여 최고의 호흡을 자랑하는 지휘자 김진은 탁월한 해석력으로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제5번의 곡 전반에 흐르는 비장한 아름다움을 관객들에게 전달할 것이다.
지휘 : 김진
플루트 : 윤혜리
연주 :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연주곡목
정태봉, 교향시(交響詩) “한강(漢江)” (창작 작품 위촉곡)
Chung : Symphonic Poem "Hangang" (World premiere)
라이네케, 플루트 협주곡 라장조 작품 283
Reinecke : Flute Concerto in D Major, Op. 283
Ⅰ. Allegro molto moderato
Ⅱ. Lento e mesto
Ⅲ. Moderato
Intermission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제5번 마단조 작품64
Tchaikovsky : Symphony No.5 in e minor, Op. 64
Ⅰ. Andante-Allegro con anima
Ⅱ. Andante cantabile, con alcuna licenza
Ⅲ. Valse, Allegro moderato
Ⅳ. Finale. Andante maestoso-Allegro vivace
연주프로그램 해석
정태봉, 교향시(交響詩) “한강(漢江)” (창작 작품 위촉곡)
Jung : Symphonic Poem "Hangang" (World premiere)
대수(帶水), 아리수,(阿利水), 욱리하(郁利河), 한산하(漢山河), 북독(北瀆), 한수(漢水), 한강(漢江). 역사를 살펴보면, 한반도 중부지방의 젖줄로 도도히 흐르는 강을 일컫는 이름은 여러 가지였다. 한반도에 사람이 모여 살았던 역사를 말하자면 구석기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야 하는데, 한강이 그 유역 사람들의 삶과 떨어질 수 없는 관계인 것은 그 때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다.
한강은 순우리말로 ‘한가람’이니 그 말의 뜻은 ‘큰 물줄기’ 곧 ‘큰 강’이다.
한강은 두개의 큰 물줄기 즉 강원도 대덕산(大德山)에서 발원하는 남한강과 역시 강원도의 금강산(金剛山)에서 발원하는 북한강이 경기도 양수리(兩水리)에 이르러 합하여 대하(大河)를 이루어 서울을 가로지를 때까지 소양강(昭陽江)같이 큰 강 그리고 많은 지류(支流)들을 끌어안으며 흐르다가 이윽고 임진강(臨津江)을 데리고 서해(西海)로 빠져 나간다. 실로 한강은 그 흐름이 강원도, 충청도, 경기도, 서울에 걸쳐 이루어지는 큰 강이며, 백두대간(白頭大幹)이나 서울처럼 우리나라의 대명사(大名辭)로 일컬어질 만큼 아름답고 또 중요한 의미를 지닌 강이기도 하다.
크고 작은 많은 지류들을 끌어안고 흐르는 한강은 그 이름에 걸맞은 이야기들을 참 많이도 품에 안고 있다. 나는 한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역사 그리고 한강에 얽힌 이야기들을 생각하며 이 교향시를 썼다. 그리고 우리 민요 ‘한강수 타령’의 가락을 불러와 곡의 흐름에서 음으로 양으로 만만치 않은 역할을 하도록 했다.
<작품해설 : 정태봉>
출연자소개
[지휘_ 김진]
- 워싱턴 DC의 내셔널 심포니, 캐나다 국립 교향악단, 시카고 시립 교향악단 지휘
- 이스트만 음대, 보스턴 대학 심포니와 쳄버 오케스트라, 보스턴 음악원 객원 지휘
- 미국 문화부 Robert Shaw Conducting Fellowship 수상
- 전미 합창지휘자 협회 (ACDA) 지휘 콩쿠르 1위 입상
- 이스트만 음대 지휘 전공, Rebecca Penneys 피아노 사사
- 보스턴 대학 최고 연주자 (Artist Diploma) 수료, 지휘법 클래스 강사
- The Dale Warland Singers 전문 합창단 단원 및 오페라 코치로 활약
- Leonard Slatkin, Jorma Panula, Pinchas Zukerman 지휘법 사사
- 아스펜 음악 페스티벌 fellowship 지휘자 역임
- 마늄 코룸 (Magnum Chorum) 음악감독 역임
- 엠파이어 스테이트 청소년 오케스트라 (New York) 음악감독 역임
- 힝햄 심포니 오케스트라 (Boston) 음악감독 역임
- 현재, 아틀란틱 심포니 오케스트라 (Boston) 음악감독 겸 지휘자
[플루트_윤혜리]
- 커티스 음악원(사사: 줄리어스 베이커), 파리국립음악원 대학원(사사: 알랭 마리옹), 바젤 아카데미(사사: 피터 루카스 그라프) 졸업
- 스위스 제네바 국제 콩쿠르에서 한국인 최초로 3위, 필라델피아 콩쿠르 1위, 뉴욕 플루트 콩쿠르, 올가 쿠세비스키 콩쿠르 우승, 이화경향 콩쿠르 2회 우승
- 뉴욕 필하모닉, 페이 드 라 로와르 오케스트라 객원단원, 뉴 월드 심포니 오케스트라, 아시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수석 주자 역임
- 스페인 테네리페 심포니 오케스트라 수석 플루티스트로 활동
-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NHK심포니 오케스트라, 상트 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과 협연
- 유럽과 아시아의 주요 실내악 음악 페스티벌에 초청연주회 참가
- 국내최초의 상주 실내악단인 금호아트홀 체임버 뮤직 소사이어티의 창단 멤버, 아울로스 목관5중주의 멤버로 활동
- 일본 플루트 컨벤션 초청 독주회, 제2회 세계 플루트 콩그레스 한국대표, 제2회 아시아 플루트 연맹 서울대 초청 및 주관, 2009 고베 국제 플루트 콩쿠르 심사위원 위촉 등, 한국을 대표하는 플루티스트로 활약
- 현재,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교수 재직, 프랑스 포르닉 국제 페스티벌 창단멤버- 현재, 스위스 취리히 예술대학 재학
[작곡_정태봉]
- 서울대 작곡과 및 동 대학원(작곡전공) 졸업
- 독일국립 칼스루에 음악대학(Staatliche Hochschule fuer Musik Karlsruhe) 대학원 작곡전공 Konzertexamen과정 졸업
- 중앙음악콩쿠르 작곡부문 입상(1979), Karlsruhe 현대음악제 입선(1987), 대한민국작곡상 실내악부문 수상(1999), 대한민국작곡상 최우수상 수상(2002), 한국음악상 수상(2007)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예술장학생(1979)
- 신춘음악회(문화방송, 경향신문, (월간)음악세계 공동주최) 출연(1980)
- 주요작품: 교향시<한국>, 교향시<백두대간> 교향시<남강>, 국악관현악을 위한<개천>, 해금과 국악관현악을 위한 협주곡<독도(獨島)>, 현악합주를 위한<한강>, 소프라노와 피아노를 위한<수상(隨想)>, 목관5중주를 위한<예언자>, 2인의 타악기 주자를 위한<전설>, 4인의 타악기 주자를 위한<진혼(鎭魂)>, 5인의 타악기 주자를 위한<광개토태왕(廣開土太王)>, 현악4중주<니타나(尼陀那)>, 현악5중주<진도, 밀양 아리랑 주제에 의한 이중변주곡>, 플루트와 가야금을 위한<학무(鶴舞)>, 대금8중주<죽영(竹影)>, 가곡<눈> <나그네> <길> <환청> <첫사랑> <논개> <바다 앞에서> <가을노트> 등 많은 작품이 있으며 현재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음
- 현재,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