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모음

공유하기
찜하기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제167회 정기연주회 - 불멸의 클래식 시리즈 Ⅳ
- 일자2012-06-22(금) 19:30
- 장소 부천시민회관 대공연장
- 가격전 석 10000 원
- 연령초등학생 이상 관람
- 주최부천시
- 주관부천필
- 문의032-625-8330-2
공연소개
* 예매는 공연 1일 전 저녁 6시까지 가능하며 공연 당일에는 예매 잔여석을 저녁 6시 30분부터 공연장 앞 매표소에서 현장판매합니다.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제167회 정기연주회 - 불멸의 클래식 시리즈Ⅳ
2012년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가 선사하는 불멸의 클래식 시리즈는 정통 클래식 고유의 아름다움과 위대함을 전달하기 위해 준비되었다. 이번 연주회에서는 한국을 대표하는 피아니스트이자 손열음, 김선욱을 양성한 교수, 그리고 이제 수원시향의 상임지휘자로서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김대진을 초청하여, 그의 음악세계를 엿보고자 한다.
안네소피무터 재단의 후원을 받으며 전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는 바이올리니스트 최예은이 선보이는 브람스 바이올린 협주곡과 낯선만큼 아름답게 울려퍼질 프랑크 교향곡을 통해 부천시민과 음악애호가 여러분들에게 초여름의 상쾌한 청량감을 전달할 수 있기를 기원한다.
지휘 : 김대진
바이올린 : 최예은
연주 :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연주곡목
브람스, 바이올린 협주곡 라장조 작품77
J. Brahms(1833-1897),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77
Ⅰ. Allegro non troppo
Ⅱ. Adagio
Ⅲ. Allegro giocoso ma non troppo vivace
Intermission
프랑크, 교향곡 라단조
C.Franck, Symphony in d minor
Ⅰ. Lento - Allegro non troppo
Ⅱ. Allegretto
Ⅲ. Allegro non troppo
출연자소개
[지휘_ 김대진]
“솔리스트가 되기 위한 모든 능력을 갖춘 훌륭한 연주자- 뉴욕 타임즈”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사사: 오정주) 재학 중 도미, 줄리어드 음악대학 (사사: 마틴 캐닌) 학사, 석사, 박사학위 취득
- 제6회 로베르 카사드쉬 국제 피아노 콩쿠르(현 클리브랜드 국제콩쿠르) 1위 입상
- 클리블랜드 교향악단, 베를린 방송교향악단(지휘:마렉 야노프스키), 아일랜드 더블린 국립교향악단, 일본 삿포로 교향악단, 프라하 심포니, 중국 내셔널 심포니 오케스트라 등 세계 유수 교향악단과 협연
- <베토벤 협주곡 전곡 1일 연주회>, <김대진의 렉쳐 콘서트-교감>, <모차르트 협주곡 전곡 연주회> 등 기획연주
-
- 한국음악협회에서 기악부문 한국음악상(2002년), ‘주간동아’가 선정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분야별 40대 리더 40인 중 음악인중 유일하게 선정(2002년), ‘동아일보’ 주최 ‘프로들이 뽑은 우리 분야 최고’ 설문조사에서 ‘국내 최고의 연주가’로 연속 선정(2003년, 2005년)
- 문화관광부 올해의 예술상 음악부분, 예총예술문화상 음악부분 대상(2005년), 금호음악 스승상 수상 (2005년, 2007년)
- 클리브랜드, 센다이, 클라라 하스킬, 파다레프스키, 라흐마니노프, 하마마츠, 베토벤, 부조니, 지나 박하우어 국제콩쿠르 등 세계 주요 음악 콩쿠르의 심사위원으로 위촉
- 예술의전당 청소년음악회 <김대진의 음악교실(2004년)>을 통해 피아니스트 겸 지휘자로 활동 영역을 넓힌 후 2005년 수원시립교향악단 정기연주회로 지휘자 정식 데뷔
- 2008년 수원시립교향악단 상임지휘자 발탁 후, <뉴욕 카네기홀 연주회(2009년)>, <베토벤 교향곡&협주곡 전곡 시리즈(2010년)>등 다수의 공연을 성공적으로 지휘
- 현, 수원시립교향악단 제6대 상임지휘자,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교수, 금호아트홀 챔버뮤직소사이어티 음악감독
[바이올린_ 최예은]
- 한국예술종합학교 예비학교 (사사: 김남윤), 독일 뮌헨 국립음악대학 입학 (사사:아나 추마첸코(Ana Chumachenco))
- 국제 영 차이코프스키 콩쿨(International Tchaikovsky Competition for the Young Musicians), , 레오폴드 모차르트 국제 콩쿨(Leopold-Mozart International Competition), 몬트리올 콩쿨(Montreal International Musical Competition), 인디애나폴리스 콩쿨 (Indianapolis International Competition)에서 모두 최연소로 상위 입상과 최우수 현대작품상 수상
- 미국 교향악 리그(American Symphony Orchestra League)가 발표한 ‘2007년 주목할만한 예술가(Emerging Artist of this year, 2007)’ 중 한 명으로 선정
- 2005년 이후 안네 소피 무터 재단의 장학생으로 선정, 안나소피무터의 전폭적인 후원과 멘토로서의 개인적인 지원을 받고 있으며, 2007년부터는 세계적인 지휘자인 크리스토프 에센바흐로부터 지속적인 음악지도를 받아오고 있음
- 몬트리올 심포니 오케스트라, 인디애나폴리스 심포니 오케스트라,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뮌헨 룬드풍크 오케스트라, 뮌헨 심포니 오케스트라, 상하이 심포니 오케스트라, 핀란드 쿠모 챔버 오케스트라, 잉글리쉬 챔버 오케스트라, 트론트하임 솔로이스츠, 몬트리올 이무지치 챔버 오케스트라 등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와 협연
- 프랑크푸르트의 알터 오퍼(Alter Oper)와 드레스덴의 프라우엔 퀼셰(Fraunkirche)에서 안네 소피 무터(Anne -Sophie Mutter), 트론하임 솔로이스츠(Trondheim Soloists)와 가진 협연은 독일을 비롯한 유럽의 방송을 통해 수 차례 소개
- 2009년 알란 길버트의 지휘아래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의 데뷔 연주, 2010년 7월 세계적인 음악 축제중의 하나인 슐레스비히 홀슈타인 음악제에서 크리스토퍼 에센바하와 슐레스비히 오케스트라와의 협연
- 2009-2010년 시즌 독일의 뮌헨 심포니 오케스트라, 포츠담 오케스트라, 호퍼 심포니 오케스트라, 중국의 상하이 심포니 오케스트라, 일본의 뉴 재팬 필 하모닉, 요미우리 니폰 심포니 오케스트라 등과의 협연
- 독일 멕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Mecklenburg-Vorpommern), 슐레스비히홀슈타인(Schleswig-Holstein), 라인가우, 스위스 베르비어 음악 페스티벌, 도쿄 라폴리 음악제(La Folle Journee au Japon), 기돈 크레머의 초청으로 로켄하우스 음악제(Lockenhaus Music Festival) 등 국제 유명 페스티벌 초청연주
- 세계를 연결하는 실내악 축제’에서는 기돈 크레머, 유리 바슈메트(Yuri Bashmet), 그리고 린 하렐(Lynn Harrell)과 앙상블 공연 참여
- 2011년 뉴 러시아 심포니 오케스트라, NCPA 오케스트라, 뮌헨 심포니 오케스트라, 안네 소피 무터씨와 10회에 걸친 유럽 투어 연주, 앙드레 프레빈의 지휘아래 NHK 오케스트라 (도쿄 산토리 홀), 프뤼벡불고스와 기타리스트 페페로메로와의 연주, 만프레드 호넥이 이끄는 피츠버그 심포니 오케스트라 등 협연
- 이태리 고악기인 로제리(1710)로 연주 (안네 소피 무터 재단 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