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연모음

공유하기

찜하기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청소년 협주곡 콘서트 Ⅰ

  • 일자2010-05-20(목) 19:30
  • 장소 부천시민회관 대공연장
  • 가격전 석 5000 원
  • 연령초등학생 이상 입장
  • 주최부천시
  • 주관부천필
  • 문의032-625-8330-2
공연소개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청소년 협주곡 콘서트!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가 매년 진행하는 청소년 협연자 오디션은 탄탄한 연주실력을 갖춘 청소년들에게 오케스트라와의 협연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장차 한국을 넘어 국제적인 아티스트로 성장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덧붙여 부천시민들과 음악 애호가들에게 한국 대표 아티스트로 거듭나고자 노력하는 청소년 연주자들의 빛나는 연주를 감상하고, 축하하기 위한 자리가 될 것이다.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는 클래식 음악의 장기적인 발전과 미래 유망주 육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진행하여, 한국 클래식의 발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것이다.


지휘_구모영
연주_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바이올린_김민겸, 호른_김형주, 마림바_김성은
비올라_김규리, 클라리넷_김상민, 바이올린_이아라



연주곡목

비외탕, 바이올린 협주곡 제5번 가단조 작품37 1악장 (바이올린_김민겸)
H.Vieuxtemps(1820∼1881), Violin Concerto No.5 in a minor Op.37 1mov.

R.슈트라우스, 호른 협주곡 제1번 마단조 작품11 1악장 (호른_김형주)
R.Strauss(1864-1949), Horn Concerto No.1 in Eb minor Op.11 1mov.

P.크레스톤, 마림바 협주곡 1악장 (마림바_김성은)
P.Creston(1906-1985), Marimba Concertino 1mov.

intermission

바르톡, 비올라 협주곡 1악장 (비올라_김규리)
B. Bartok(1881∼1945), Viola Concerto Op.Posth

모차르트, 클라리넷 협주곡 1악장 (클라리넷_김상민)
W.A.Mozart(1756-1791), Concerto for Clarinet in A Major K.622. 1mov.

차이코프스키, 바이올린 협주곡 라장조 1악장 (바이올린_이아라)
P.I.Tchaikovsky(1840-1893)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35 1mov.



연주프로그램 해석

비외탕, 바이올린 협주곡 제5번 가단조 작품37 1악장 (바이올린_김민겸)
H.Vieuxtemps(1820∼1881), Violin Concerto No.5 in a minor Op.37 1mov.


비외탕이 재차 미국을 방문한 뒤 1860년경에 완성했고, 친구인 브뤼셀 음악원 바이올린과 교수 레오나르의 교재로써 썼다. 레오나르는 당시 유명한 바이올린의 명수로서 스타카토와 아르페지오가 능숙했기 때문에, 이 곡에도 그것을 많이 사용하였다. 1862년에 비외탕 자신이 초연했는데, 베를리오즈는 그 초연을 듣고 다음과 같이 칭송했다.
‘나는 지금 이 화려한 협주곡을 끝까지 분석해 갈 수가 없다. 단지 간단하게 이렇게 말하는 것으로 그치자. 이 작품은 나에게 있어서 매우 위대하고 새로운 것이다. 또한 작품전체에 걸쳐 보여 준 훌륭한 구성은 독주 악기만을 압도적으로 취급하지 않고서도 생생하고 정교한 빛을 발하고 있다. 관현악은 유려하고 속되지 않았다. 그리고 때로는 지나치게 호화롭지만, 그러나 높은 풍격을 잃고 있지는 않다.’
이 곡에는 또 「르 그레트리」라는 부제가 달려 있는데, 그것은 카덴차 다음의 짧은 아다지오 속에 그레트리가 만든 「뤼시르」중 「나의 집보다 더 좋은 곳은 없다」는 가락이 도입되어 있기 때문이며, 이 가락은 당시 프랑스에서 크게 유행했다고 한다. 그리고 부르봉 왕조가 왕정복고를 했을 때 그 애국가로 채택될 정도로 유서 있는 곡이다.

R.슈트라우스, 호른 협주곡 제1번 마단조 작품11 1악장 (호른_김형주)
R.Strauss(1864-1949), Horn Concerto No.1 in Eb minor Op.11 1mov.


슈트라우스의 부친 프란츠는 뛰어난 호른 주자로 뮌헨의 궁정관현악단의 수석을 맡고 있었으며, 뵐로는 프란츠를 “호른의 요아힘”이라며 칭송했다. 이런 이유로 아들인 슈트라우스는 어린 시절부터 부친의 호른연주를 접하고 있었고, 가령 기분이 안 좋을 때라도 그것을 들으면 미소를 지었다고 한다.
슈트라우스는 호른에 강한 애착을 갖고 있었고, 2곡의 호른 협주곡을 작곡했다. 이 곡에서 슈트라우스적인 것과 대담함이 나타나는데 예를 들어 관현악 처리에는 이후의 슈트라우스를 예견시키는 듯한 신선함과 빛남이 있고, 이는 부친의 환갑을 축하하는 것과도 관계가 있을 것이다. 3악장제를 취하고 있지만, 규모가 작고 악장사이의 끊김이 없을 뿐 아니라, 동기의 관련에 의한 전체의 통일성과 집약성을 배려 하였으며, 슈트라우스가 좋아하게 되는 단일악장을 지향하기 시작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P.크레스톤, 마림바 협주곡 1악장 (마림바_김성은)
P.Creston(1906-1985), Marimba Concertino 1mov.


Orchestrette Classique의 지휘자인 Frederique Petrides의 의뢰에 의해 작곡된 이 작품은 1940년 3월에 완성되어 그녀에게 헌정되었다. 3개의 악장으로 이루어졌고 오케스트라와 함께하는 솔로 악기로서 마림바의 독립성을 드러낼 수 있도록 작곡되었다.
"Vigorous -활기있는"이라고 명명된 1악장은 리드미컬한 테마와 서정적인 테마, 두 개의 메인 테마로 구성되어 있는데, 오케스트라의 도입부에 두 가지가 모두 소개된다. 이 테마들의 발전은 솔로파트에서 주로 나타나고, 다양한 리듬 패턴으로 통합된다.
- 작곡가 노트 중에서

바르톡, 비올라 협주곡 1악장 (비올라_김규리)
B. Bartok(1881∼1945), Viola Concerto Op.Posth


바르톡의 유작으로, 제자인 티볼 셀 리가 초고를 정리하고 오케스트레이션을 완성하여 연주할 수 있는 형태를 만들어 출판하였다. 바르톡 사후 2년째에 유족이 셀리에게 의뢰했던 것인데, 완성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였다. 이 협주곡은 다만 비올라 협주곡이라는 드문 분야에서의 걸작이라든지, 현대 음악에서의 걸작이라든지 데 그치지 않고, 고금의 현악의 협주곡 중에서도 가장 높은 음악성을 지닌 몇 안되는 작품 중 하나이다. 후기의 바르톡의 투철한 이지와 원숙한 정서가 혼연히 융합하여 단순한 형식 속에 깊은 인상을 띠고 있으며, 거의 같은 시기의 작품 피아노 협주곡 제 3번과 여러 가지 점에서 유사하지만, 이 곡이 한층 순수하고 심원하다. 도미 후 대개 감미로운 작품의 계열속에 있으면서도 중, 초기의 엄격한 작품을 가장 잘 회상시키는 작품이다.

모차르트, 클라리넷 협주곡 1악장 (클라리넷_김상민)
W.A.Mozart(1756-1791), Clarinet Concerto in A Major K.622 1mov.


모차르트가 협주곡 장르에서 남긴 마지막 작품이며, 아울러 유일한 클라리넷 협주곡이다. 거의 균일한 음색을 지닌 오보에에 비해 클라리넷의 매력은 저음, 중음, 고음의 음역마다 음색이 변하며 표현의 폭과 깊이도 달라지는 점에 있을 것이다. 오케스트라 가운데 항상 고정된 자리를 차지하고 못하고 있던 이 신참악기의 이런 특성을 모차르트는 이미 잘 알고 있었으며 특히 가장 낮은 음에 가까운 음역을 충분히 울려 고음역과의 대조 효과를 교묘하게 뽑아내고 있다. 이 협주곡의 경우 활기차고 관능적인 정서와 분위기가 모차르트 최후의 창작기속에 흐르는 조용하고 끝없이 맑은 울림안으로 탁월하게 녹아들어가 더할 나위없이 아름답다.

차이코프스키, 바이올린 협주곡 라장조 1악장 (바이올린_이아라)
P.I.Tchaikovsky(1840-1893)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35 1mov.


차이코프스키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은 1878년에 작곡되었다. 차이코프스키가 안토티타 아비노프나 밀유코파(antonina Ivanovna Milyukova)와의 비참한 결혼생활로부터 온 우울증을 회복하기 위해 갔던 스위스 제네바 호수 연안의 클라렌스 리조트에서 작곡되었다.
그곳에서 그의 제자이자 바이올린 연주가인 요지프 코테그와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작품을 함께 연주했었고 그것이 이 협주곡을 작곡하게 한 기폭제가 되었다.
차이코프스키는 바이올린 연주가가 아니었기 때문에 이곡의 바이올린 독주 부분 작곡은 요지프의 도움을 받았다. 작곡은 매우 빨리 이루어져 비록 2악장은 나중에 완전히 다시 쓰여지긴 했지만 당시 한 달 안에 곡이 완성되었다.
초연 당시에는 그리 호응을 얻지 못하였지만 이후 브로즈키와 아우어의 연주에 의해 점차 알려지기 시작했고 지금은 바이올린 협주곡 중에서 최고의 걸작으로 인정받고 있다. 차이코프스키는 이 곡에서 러시아의 민요를 사용하여 독특하고 애수에 젖은 아름다운 선율을 만들어내어 그의 독창적인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

 
출연자소개

[지휘_구모영]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 동 대학원 지휘전공 졸업(임헌정, 김덕기 사사)
- 독일 Leipzig 국립음대 지휘전공 졸업 (Christian Kluttig 사사)
- 국제 지휘자 마스터 클래스를 통해 거장 Kurt Masur, Bernhard Heitink, - Fabio Luisi(Dresden Saat Oper, GMD) 사사
- 원주시립교향악단 부지휘자 역임
- 부천시립교향악단, 수원시립교향악단, KBS 교향악단, 서울시립청소년교향악단, 마드리 실내악단, Reinische Philharmonie Orchestra, Polinische chamber Orchestra in Sopot 등 객원지휘
- 독일 Leipzig에서 Ars chamber Orchestra 창단 후'Mahler Plus'란 기획연주회를 Mahler의 대규모 교향곡 작품을 소규모 Chamber Orchestra로 편곡된(방황하는 젊은이의 노래, 대지의 노래, 교향곡 4번, Arranged by Erwin Stein)작품 등을 성 황리에 공연하여 참신한 지휘자로 현지 음악인들에게 주목
- 현, 인천시립교향악단 부지휘자 재직, 성신여대, 수원대, 서경대 출강


[바이올린_김민겸]

2009년 이화 경향 콩쿠르 3위
서울 청소년 실내악 콩쿠르 1위
대관령 국제 음악제 참가
2008년 금호 영재 콘서트(금호아트홀)
2007년 음악춘추 콩쿠르 1위,
우수콩쿠르 입상자 연주회 (부암아트홀),
이원 꿈나무 독주회 (이원아트홀)
2004년 호남예술제 1위,
한국일보 콩쿠르 1위
현, 예원학교 3학년 재학, 한국예술영재교육원 재학
사사 : 김남윤


[호른_김형주]

2010년 KBS 열린 음악회 출연
2009년 국제학생콩쿠르 중등부 호른 1위
서울대관악콩쿠르 중등부 호른 1위
한국예술종합학교 크누아 유스 오케스트라 협연
웅진재단 제 1기 예술영재 장학생 선발
2008년 연세대관악콩쿠르 중등부 호른 1위
수원시향 청소년 협주곡의 밤 협연
Arte - 예술 TV출연
2007년 우현콩쿠르 중등부 호른 1위
영산전국음악콩쿠르 관악부 2위
2006년 음악협회콩쿠르 초등부 호른 1위
현) 웅진재단 예술영재 장학생
현,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영재 교육원 재학
현, 서울예고 1학년 재학
사사 : 이석준


[마림바_김성은]

2010년 서울 로얄심포니오케스트라 협연
2009년 우현콩쿨 중등부 타악기 부문 2위
연세대학교 관악콩쿨 타악기 중등부 1위
한국음악협회 콩쿨 타악기 중등부 2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관악콩쿨 타악기 중등부 3위
현, 예원학교 3학년 재학중
사사: 최주옥


[비올라_김규리]

2009년 justviola 콩쿠르 고등부 1등,
서울청소년 실내악 콩쿠르 금상,
금호 영 아티스트 콘서트 독주회
2008년 세계일보 콩쿠르 1등,
금호 영재 10주년 기념 콘서트 실내악 연주
2007년 예원콩쿠르 비올라부문 대상
음악교육신문사 현악부문 1등
예진콩쿠르 1등
서울 청소년 실내악 콩쿠르 금상
2006년 금호 영재 콘서트 독주회
바로크합주단 현악 콩쿠르 비올라부문 대상
2005년 세계일보 콩쿠르 1등
서울 아카데미 앙상블과 협연
마드리 실내악단 협연
2004년 음악춘추 콩쿠르 1등
현, 서울예술고등학교 3학년
사사: 김성은


[클라리넷_김상민]

2009년 선화 예술 고등학교 실내악 콩쿨 금상 입상
선화 예술 고등학교 실기 우수자 연주회
2008년 선화 예술 고등학교 수석입학
선화 예술 고등학교 실기 우수자 연주회
2007년 이화 경향 콩쿨 2위
더 뮤직 콩쿨 3위
2006년 음악춘추 2위
현, 선화예고 3학년 재학
사사 : 김동진, 하지윤


[바이올린_이아라]

2009년 음협콩쿨 1등
2008년 소년한국일보 금상
유망주 발굴 상록오케스트라 협연
2007년 새찬양콩쿨 바이올린 대상
2005년 침신 극동방송 음악콩쿠르 1등,
난파 전국 음악콩쿠르 1등,
한미 전국학생콩쿨 초등부 전체대상
2004년 음악저널 1등, 대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전국 음악콩쿠르 1등,
태국 정부초청 해군 교향악단 협연, 음악저널 우수입상자 연주회
2002년 서울바로크 전국현악 콩쿠르 2등
현, 대덕국제학교 중1년 재학
사사: 양해엽, 조유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