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연모음

공유하기

찜하기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청소년 음악회 - 오케스트라 인 썸머

  • 일자2010-08-19(목) 19:30
  • 장소 부천시민회관 대공연장
  • 가격전 석 5000 원
  • 연령초등학생 이상 입장
  • 주최부천시
  • 주관부천필
  • 문의032-625-8330-2
공연소개
* 예매는 공연일 1일 전 저녁 6시까지 가능하며, 공연 당일은 매표소에서 현장 구입 가능합니다.
 

오케스트라 인 썸머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가 준비한 이번 음악회는 평소 클래식을 접할 기회가 많지 않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오케스트라 연주의 색다른 즐거움을 선사하기 위해 기획 되었다.
흔히 지루하고 졸린 음악이라는 편견에서 벗어나, 작곡가의 개성이 완연히 드러나는 곡의 열정적이고 화려한 멜로디와 다양한 악기들이 한 치의 흐트러짐 없이 음악에 몰입되는 비주얼이 청소년들에게 오케스트라의 진정한 매력을 전달하게 될 것이다. 모차르트, 베토벤 등의 교과서적인 명곡들도 중요하지만, 조금은 낯선 작곡가들의 당당하고 짜릿한 클래식의 또다른 매력은 청소년들이 사로잡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구약성서에 나오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고난의 역사를 배경으로 만들어진 베르디의 대표작 오페라 나부코 서곡을 시작으로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로 손꼽히는 사라사테에게 헌정된 생상스의 서주와 론도 카프리치오소, 남프랑스풍의 감수성을 지난 화려함이 표현된 비제의 아를의 여인 모음곡 제2번, 마지막으로 천재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였던 리스트의 낭만적 색채를 담은 교향시 제3번 전주곡이 차례로 연주될 예정이다.
국내 최고의 오케스트라로 손꼽히는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의 청소년 음악회는 예비사회적 기업 아미치 아트컴퍼니의 상임지휘자 임성혁의 지휘 아래 젊은 차세대 바이올리니스트 김정아의 패기넘치는 연주로 청소년들의 눈과 귀를 완전히 매료시킬 것이며 여름방학의 가장 뜨겁고 열정적인 순간을 장식할 것으로 기대한다.


지휘 : 임성혁
바이올린 : 김정아
연주 :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연주곡목

베르디, 오페라 “나부코” 서곡
G.Verdi, Opera Overture "Nabucco"

생상스, 서주와 론도 카프리치오소
Saint-Saens , Introduction and Rondo capriccioso

비제, 아를의 여인 모음곡 2번
G. Bizet, L'arlesinne Suite No.2

리스트, 교향시 제3번 전주곡
F. List, Symphonic Poem No.3 Les Prelude



연주프로그램 해석

베르디, 오페라 “나부코” 서곡
G.Verdi, Opera Overture "Nabucco"


나부코(Nabucco)는 원래 느부갓네사르(Nabucodonosor)라는 이름을 이태리어로 줄인 말이다. 이 오페라는 구약성서에 나오는 바벨론 왕 느부갓네사르 2세의 지배아래 신음하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고난의 역사를 배경으로 하면서 왕의 가족간의 갈등과 여주인공 아비가일의 권력욕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 오페라의 작곡배경은 흥미롭다. 작곡가 베르디가 온 가족을 잃고 작품도 대 실패로 끝나 우울과 낙담 속에서 작곡 생활을 완전히 그만두기로 결심을 하였는데, 스칼라 극장주 인 메렐 리가 베르디에게 나부코를 작곡하라고 끈질기게 설득하였다. 마지못해 베르디는 나부코의 극본을 집으로 가져와서 아무렇게나 책상에 던진 순간, 펼쳐진 페이지에 “ Va Pensiero - 가거라 생각이여, 금빛 날개를 타고”라는 글귀가 적혀 있었다. 이때부터 차츰 악상이 떠올라 완성해 낸 오페라가 바로 대성공을 거둔 “나부코” 이다.

생상스, 서주와 론도 카프리치오소
Saint-Saens , Introduction and Rondo capriccioso


이 곡은 우울한 서주로부터 시작해서 생상스 특유의 우아함이 전개되고 화려한 속주로 끝을 맺는다. 1868년에 완성되어 4년 후의 독주로 파리에서 초연된 이 곡은 생상스가 사라사테에게 완전히 매료되어 헌정한 곡이다.
기교의 명인인 사라사테를 위해 그의 장기인 플라밍 스타카토와 아르페지오 기법 등을 주로 사용하였고 사라사테가 스페인 출신인 것을 고려하여 마치 투우사를 연상하게 하는 강렬한 라틴 풍 리듬의 사용 등으로 스페인의 향취를 짙게 가미하고 있다. 생상스의 서주와 론도 카프리치오소는 형식적인 면에서 아주 독창적인데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론도이긴 하나 규칙은 작곡가 마음대로 변형된다. 처음의 서주는 멜랑콜리가 가미된 안단테로 스페인의 향취가 물씬 나고 론도는 지극히 리드미컬하지만 우수가 섞이면서 듣는 이의 마음을 저리게 하며, 후반의 카덴차는 더없이 화려하다. 오케스트라의 강렬한 화음, 힘찬 행진곡풍, 율동적이면서도 호쾌한 선율로 인해 많은 바이올린 독주곡 중에서 가장 많이 연주되는 곡 중의 하나로 꼽힌다.

비제, 아를의 여인 모음곡 2번
G. Bizet, L'arlesinne Suite No.2


비제는 1872년 프랑스의 문호 도데의 희극 <아를의 여인>의 극중 음악으로 전 27곡을 썼는데, 이것이 바로 이 모음곡이다. 이 곡은 그의 오페라 <카르멘>에서 발췌한 현악 모음곡과 함께 오케스트라를 사용하여 그의 역량을 발휘한 걸작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작품도 처음에는 호평받지 못했고, 음악회용 모음곡으로 그 중에서 우수한 것만 골라, 개편한 후부터 크게 호평을 받게 되었다. 이 희곡의 줄거리는 남프랑스의 프로방스 지방에 있는 아를이라는 작은 마을에서 일어난 이야기다. 부농의 청년 프레데리크가 이 마을의 아를이란 여자를 열렬히 사랑하는데 집 사람들은 이 여자의 과거가 불순하다고 해서 이를 완강히 반대하고 있다. 더욱이 미티피기라는 목장지기가 찾아와 “아를은 내 연인이다”하면서 그와의 결혼을 방해하고 있다. 그런데 그 근처에 사는 비베트라고 하는 아름다운 소녀는 어릴때부터 프레데리크를 사모하고 있었고 두 사람은 결혼하기로 결정하였는데, 결혼식 전날밤 아를의 춤추는 모습을 보고, 못이룬 사람에 번민하다가 곡물창고에서 뛰어내려 자살하고 만다는 내용이다.

리스트, 교향시 제3번 전주곡
F. List, Symphonic Poem No.3 Les Prelude


1854년에 작곡된 전주곡은 프랑스 시인 라마르틴의 시적 명상록 1절 “우리 인생은 태어난 순간부터 죽음으로의 전주곡이다.” 를 인용하고 있다. 인생의 아침, 폭풍, 평안, 투쟁과 승리를 담은 이 작품은 모두 4부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 중 현의 약음기 아래 호른으로 시작되는 관악기의 목가적 선율이 평화로운 전원을 묘사한 제3부가 가장 아름답다.

 
출연자소개

[지휘_임성혁]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 졸업
- 뮌헨 국립음대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 미시간 주립대학교 대학원 지휘과 졸업
- 대구시립교향악단, 성남시립교향악단, 포항시립교향악단 외 다수 오케스트라 지휘
- 현, 아미치 아트컴퍼니 상임지휘자, 국립경찰교향악단 단장


[바이올린_김정아]

- 서울예고, 서울대학교 졸업
- 뉴잉글랜드 음악원 (New England Conservatory of Music) 에서 장학생으로 석사 취득
- 남가주 대학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에서 전액 장학생으로 박사
- 김민, 김선희, 김의명, James Buswell, Robert Lipsett 사사
- 서울 심포니 오케스트라 콩쿨, 부천 음협콩쿨, 조선일보, Artist International Competition, USC Concerto Competition 수상
- 뉴욕 카네기홀 데뷔 리사이틀, USC 챔버 오케스트라와 협연
- 예술의 전당, 영산아트홀, 금호아트홀, NEC William’s Hall, Brown Hall, USC Alfred Newman Recital Hall 등 독주회 개최
- 서울바로크합주단 청소년음악회,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 서울 심포니 오케스트라, 모데른 챔버 오케스트라, 불가리아 국립오케스트라, 부천 청소년 오케스트라, 서울 바로크 합주단 제 126회 정기연주회, 원로 교향악단 정기연주회, 예술의전당 11시 콘서트 등 과 협연
스위스 대사관 초청 연주회, 리움미술관 초청 연주회, 문호아트홀 초청연주회, 하나를 위한 음악재단 아티스트 음악기부 콘서트와, Piano Trio, String Quratet 멤버로 한국, 미국 등지에서 다양하고 꾸준한 활동
- 현, 서울바로크합주단 단원, 상명대, 선화예고 출강, JK 앙상블 단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