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연모음

공유하기

찜하기

벼룩시장과 함께하는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2016 제야음악회 -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오페레타 ‘박쥐’ 갈라 콘서트

  • 일자2016-12-31(토) ~ 2017-01-01(일) 22:00
  • 장소 부천시민회관 대공연장
  • 가격R석 50000 원 S석 30000 원
    A석 20000 원
  • 연령초등학생 이상 입장
  • 주최미디어윌
  • 주관부천필후원회
  • 문의032-625-8330-1
공연소개

* 2016 제야음악회 예매는 마감되었습니다.

예매티켓 수령 및 현장티켓 구입은 공연 당일 오후 9시부터 가능하며, 
<R석과 S석은 <매진>으로 현장에서는 A석(2층)만 구입 가능>합니다. 
또한 이번 공연은 미디어윌 주최 공연으로 <현장 구입시에는 현금으로만 결제 가능>합니다.

--------------------------------------------

* 출연자 중 로잘린데 역은 소프라노 김은희 -> 소프라노 전지영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 바랍니다. 

--------------------------------------------

* 제야음악회는 미디어윌 주최 공연으로 인터파크티켓에서 예매 가능합니다.
* 인터파크티켓예매는 공연일 1일 전 오후 5시까지 가능하며, 공연 당일에는 오후 9시부터 공연장 로비에서 예매 잔여석을 현장 판매합니다. 
* 아래 예매버튼을 누르면 인터파크 상세 페이지로 바로 이동합니다. 예매 확인 등 인터파크 전화 문의: 1544-1555

   


--------------------------------------




벼룩시장과 함께하는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2016 제야음악회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오페레타 “박쥐” 갈라 콘서트> 


아쉬움과 희망이 공존하는 2016년의 마지막 날,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는 연말의 들뜬 분위기에 맞추어 화려하고 아름다운 음악과 재미있는 코믹 드라마가 함께 어우러지는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오페레타 “박쥐” 갈라 콘서트를 준비한다.
올해 16회를 맞이하는 <벼룩시장과 함께하는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제야음악회>는 한해를 마감하는 의미와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하는 클래식 음악의 다채로운 향연들로 지금까지 많은 관객들에게 최고의 감동을 안겨주었다.
이번 연주는 2015년부터 새롭게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를 이끌고 있는 마에스트로 박영민,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의 신선하고 역동적인 연주 그리고 국내의 정상급 성악가들의 노래와 연기가 어우러지는 화려하고 다채로운 음악이 돋보이는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오페레타 “박쥐” 갈라 콘서트로 한해의 마지막 밤을 수놓는다. 
2016년 마지막 밤, 희망과 기대가 가득한 마음과 더불어 신나는 오페레타의 선율을 함께 전달할 <벼룩시장과 함께하는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2016 제야음악회>를 통해 “송구영신”의 의미 있는 음악회를 기대한다.
 
지휘 : 박영민
연출 : 이의주
로잘린데 : 전지영
아델레 : 김수연
알프레드 : 이재욱
오브로스키 : 정수연
아이젠슈타인 : 오승용
팔케 : 김영주
프랑크 : 이대범
블린트 : 성효병
이다 : 이가연
프로쉬 : 남명렬
안무 : 김용걸
무용 : 김용걸 댄스 시어터
연주 :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프로그램]  

요한 슈트라우스 2세, 오페레타 “박쥐” 하이라이트
J. StraussⅡ, Operetta “Die Fledermaus” 
 

* 주최측 사정으로 인하여 일부 내용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출연자소개

[지휘_박영민]  

- 유럽 및 아시아에서 다양한 활동 - 스페인 반다 바르셀로나, 독일 브레머하펜 시립교향악단, 체코 브르노 필하모닉, 아르메니아 필하모닉, 폴란드 오폴레 필하모닉, 폴란드 제스조브 필하모닉, 리투아니아 국립 교향악단, 발레아 군도 심포니(구 마요르카 심포니), 오케스트라 앙상블 가나자와(OEK) 등의 초청으로 말러, 시벨리우스, 드보르작, 글라주노프, 베토벤 등 대작과 함께 세계 유수의 홀에서 객원 지휘
- 서울 클래시컬 플레이어즈 창단 및 음악감독 역임
- 원주시립교향악단 상임지휘자 역임 - 시벨리우스, 말러, 브루크너 등 다양한 레퍼토리로 교향악단의 수준 향상에 기여, 일본 La Folle Journee Festival 공식 초청 및 투어 연주
- 서울대학교 작곡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휘과 석사 졸업
-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국립음대 석사 졸업
- 이탈리아 키지아나 아카데미 국제 지휘 코스 디플롬
- 잘츠부르크 국제 모차르트 재단으로부터 베른하르트 파움가르트너 메달 수상
- 현재,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상임지휘자
추계예술대학교 관현악과 교수  


[연출_이의주]  

- 가천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오페라 연출 전문사 수료, 이탈리아 밀라노 아르세날레 극장 아카데미아 연극 및 연기 수학, 파르마 오르페오 아카데미아 오페라 분석과 연출 디플로마
- 최연소 국립 오페라단 상근 연출자로 <라보엠>, <카르멘>, <잔니스키키> 연출 및 <투란도트>, <라트라비아타>, <루치아> 공연으로 서울, 대전, 대구, 김해, 일산, 광양, 목포, 울릉도 등 전국 투어 리바이벌 연출 등 약 150회 공연
- 인천 세계 오페라 페스티벌 라보엠 및 문화뱅크 오페라 연출, 인천 펜타 포트 아트 페스티벌, 서울문화재단 오페라 페스티벌 연출, 제1회 대한민국 오페라 페스티벌 <아이다> 연출, 예술의전당 주최 대학 오페라 페스티벌 <사랑의 묘약>, tvN 방송 <오페라 스타> 무대 총연출, 경주 예술의 전당 개관1주년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연출. 국립오페라단 송년 갈라 콘서트 연출. 인천 오페라단 <마술피리>, 과천시향 <까발레리아 루스티카나>, <텐 테너스>, CBS 볼쇼이 오페라 갈라 연출, 프라임필 주최 <사랑의 묘약> 연출 및 해설. 베르디 탄생 200주년 기념 오페라 <팔스타프>, 대구 오페라 하우스 10주년 기념 오페라 갈라콘서트, <세빌리아의 이발사>, <코지 판 투테> 연출. 이탈리아 베르디 살레르노 극장 동양인 최초로 <세빌리아의 이발사> 연출
- 2009년 비평가 선정 성장 동력 연출가 10인에 선정
- 국립 오페라단 상근 연출가 (2006-2008)
- 경희대, 국민대, 대구가톨릭대, 대진대, 성신여대, 가천대, 전북대 출강
- 현재, 이화여대, 세종대 출강, 영남대 겸임교수
저서 웅진 출판사 <오페라는 이렇게 만들어요-로엔그린>
쿠컴퍼니 소속 아티스트


[로잘린데_소프라노 전지영]

-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 독일 Muenchen 국립음대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 도이치오퍼 베를린, 베를린슈타츠오퍼, 드레스덴젬퍼오퍼, 뒤셀도르프 국립극장, 하노버국립극장,만하임국립극장,클라겐푸르트국립극장,베른국립극장,리옹국립극장,바르셀로나 국립극장 등 유럽 20여개의 오페라극장에서 최연소 한국인 솔로가수로 데뷔하여 1000회 이상 주역 출연
- 제임스레바인, 쿠르트몰, 리쳐드보닝, 정명훈 등 세계적인 대가들과 함께 연주
- 국립오페라단, 서울시립오페라단, 대구오페라하우스 등 국내 주요 오페라 무대에서 주역


[아델레_소프라노 김수연]  

- 1998 대한민국 정부수립 50주년 오페라 페스티벌 리골레또 질다 데뷔
- 월간음악콩쿠르, 음협콩쿠르 1위
- 오스트리아 빈 국립음대 프란츠 돈너교수의 발탁, 빈 국립음대 성악 전공
-  동 대학원에서 가곡, 오라토리움과 수석 졸업
- 빈 국립음대 프란츠 돈너 에디트 마티스 사사
- 오스트리아 바덴국제 콘서트와 서울 오페라 축제 리골레토 질다 역
- 99년 빈 오페라 마술피리 밤의 여왕 역, 비엔나 초연학교의 여인들의 아그네스 역
- 리골레토를 비롯한 라트라비아타, 카르멘, 피가로의 결혼, 마적 등 국내 최고의 무대에서 활약
- 2007년 ‘ANGELA’에 수록곡 ‘O SOLE MIO’는 롯데 캐슬 TV 광고의 배경음악으로 사용되며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며, AMOR의 리트앨범 발매  


[알프레드_테너 이재욱]  

-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졸업
- 이탈리아 "ORFEO" 국제성악아카데미 졸업
- 한국의 국립오페라단, 서울시오페라단, 서울예술의전당, 대구오페라하우스, 대구시립오페라단, 대전문화예술의전당, 대전오페라단 등과 Teatro Rosetum(Milano), Singapore Lyric Opera, Ecuador National Opera 등 국내외에서 다수의 오페라 주역으로 공연 
- 독일 "쾰른 필하모니 아우디토리움" 초청 Recital, 일본 삿뽀로 아사히야마 국제음악제 초청공연, 홍콩 City Choir 초청 아시아 쓰리 테너 콘서트, 중국 Guiyang Symphony Orchestra 협연, Singapore Chinese Orchestra 협연, Singapore Esplanade Theatre에서 오페라 갈라콘서트, 인도네시아 Jakarta Symphony Hall에서 Messiah 협연 등 유럽과 아시아 등지에서 다양한 콘서트 참가. 서울시향, 코리안심포니, KBS교향악단, 수원시향, 인천시향, 부산시향 등과 협연
- 전국성악콩쿨(대구음협주최, 1999) "대상" 수상. "몽세라 카바예", "니노 카르타", "로제툼" 등 다수 국제성악콩쿨에서 입상
- “테너 이재욱이 부르는 이수인 서정가곡”을 비롯 다수 한국가곡 CD 녹음
- 현재, 국내외 각지에서 전문 연주가로 활동 중


[오브로스키_메조 소프라노 정수연]  

- 한양대학교 성악과 졸업
- 미국 Peabody conservatory 석사 및 전문연주자 과정 졸업
- 미국 (필라델피아) Academy of Vocal Arts 에서 Artist Diploma과정 졸업
- 메트로 폴리탄 지역우승, 리더크란쯔, 오라토리오 소사이어티, 지아르쟈리, 마리오 란자, 몬트리올 쥬네스뮤지컬, 등 다수대회 입상
- 뉴욕 링컨센터, 카네기홀,머킨홀, 캐나다, 멕시코 플라스데자르에서 연주
- 미국 보엠오페라단, 샌안토니오 오페라단에서 나비부인공연
- 돈카를로, 노르마, 카르멜회수녀들의 대화, 나비부인,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 팔스타프, 루크레지아 보르지아, 박쥐등 오페라 주역가수로 활동
- 국립오페라단, 서울시오페라단, 국립합창단, 모테트합창단, KBS 교향악단과 등과 협연
- 한양대학교 겸임교수,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역임
- 현 세일문화재단 예술감독  


[아이젠슈타인_바리톤 오승용]

- 2006~2007 국립오페라단 솔리스트 (상임단원)
- 오페라 이외 연극 단테의 신곡, 백중사 이야기, cpmmercial definitely 등에 출연
- 2004 체코 오스트라바 국립극장 솔리스트
- 2004 제1회 베니아미노 질리 콩쿠르 3위, 제2회 안셀모 꼴짜니 콩쿠르 1위
- 2003 제10회 쥬세빼 디 스테파노 콩쿠르 1위
- 2002 제1회 로만차 다 살로토 콩쿠르 1위, 제18회 비오띠 발세지아 콩쿠르 1위, 제2회 브레샤시 주최 콩쿠르 1위, 제8회 탈리아비니 콩쿠르 3위
- 2001 제6회 다카라즈카 베가 콩쿠르 성악부문 1위, 효고현지사상
- 2000 제1회 나가쿠테 오페라 성악 콩쿠르 1위, 제31회 이탈리아 성악 콩쿠르 시에나 대상 1위, 제10회 전일본 솔리스트 콘테스트 그랑프리 1위
- 1998 제6회 바렌나 콩쿠르 1위
- 경북대학교 졸업, 이탈리아 브레샤 음악원 졸업


[팔케_바리톤 김영주]  

- 장로회신학대학교, 이태리 피렌체 국립음악원 졸업
- 스페인 훌리안 가야레콩쿨 2위, 바르셀로나 비냐스콩쿨 3위
- 이태리 델 모나코콩쿨 1위 등 다수의 콩쿨입상 
- 몽세라 카바예, 체코 야나첵오케스트라와 독일 순회연주
- 런던 로얄 필하모니와 로얄 알버트홀에서 연주
- 독일 오페라극장 전속가수로 6년간 있으면서 유럽에서 
- [리골렛또][나부코][돈 죠반니][팔리아치][라트라비아타][돈 카를로][파우스트][사랑의 묘약] 등의 오페라 주역으로 20개 작품 300여회 공연
- [가면무도회][호프만의이야기][손양원][이중섭][아드리아나][쟌니스키키][라보엠][카르멘]등의 국내 오페라와 국립오페라단의 [박쥐]공연
- [메시아][마태수난곡][요한수난곡][사도바울][천지창조][십자가상칠언][크리스마스오라토리오]등의 오라토리오 연주
- 현재 장신대, 세종대콘서바토리 출강  


[프랑크_베이스 이대범]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졸업
- 독일 쾰른음악대학 석사 및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 음악춘추콩쿨, 한국성악콩쿨, 페루쵸탈리아비니 국제성악콩쿨등 다수 콩쿨 입상
- 독일 브라운슈바익 오페라하우스 전속 솔리스트 (2007-2012)
- 유럽을 중심으로 오페라 <라보엠>, <세 개의 오렌지의 사랑>, <로엔그린>, <라 트라비아타>, <방황하는 네덜란드인>, <마농 레스코>, <후궁탈출>, <시몬 보카네그라>, <카르멘>,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마탄의 사수>, <레이디 멕베드>, <돈죠반니>, <마술피리>, <루이자 밀러>, <투란도트>, <헨젤과 그레텔>, <피가로의 결혼>등 약 300여회에 이르는 오페라 및 갈라 콘서트 공연
- Oehmsclassics사와 Simon Mayr의 오페라 <페드라>, A. C. Gomez의 오페라 <살바토르 로자> 음반 제작 및 발매
- 귀국후 다수 독창회 및 대전시향, 제주시향, 군산시향등과 협연
<천지창조>, <나인심포니>등 각종 콘서트 및 갈라콘서트 출연
국립오페라단을 비롯한 여러 오페라단과 오페라 <라보엠>, <팔스타프>, <투란도트>, <코지판투테>, <루갈다>, <리골렛토>등 주역
- 현, 군산대 음악대학,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외래교수   


[블린트_테너 성효병]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졸업
- 이태리 ARENA ACCADEMIA 성악과정 수료
- 2012 음악춘추 콩쿨 1위없는 2위
- 2013 코리아헤럴드 콩쿨 1위
- 동패고등학교 명예교사 위촉
- 현) 부천시립합창단 테너 상임단원   


[이다_소프라노 이가연]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졸업
- 현) 부천시립합창단 소프라노 상임단원 


[프로쉬_해설 남명렬]  

- [연극] 사람의 아들, 새들은 제 이름을 부르며 운다, 이디푸스와의 여행, 슬픔의 노래, 오이디푸스, 사라치, 첼로와 케찹, 바다와 양산, 에쿠우스, 아가멤논, 유리 부트소프의 갈매기, 코펜하겐, 한스와 그레텔, 기묘여행, 그을린 사랑, 알리바이 연대기, 가족이란 이름의 부족
- [영화] 서양골동 양과자점 -앤티크 (민규동 감독), 미안해, 고마워 (송일곤 감독), 쿼바디스 (김재환 감독), 장수상회 (강제규 감독), 우리집 (임다슬 감독)
- [TV] 커피프린스 1호점, 드라마시티'이중장부 살인사건', 최강 칠우, TV문학관'언니의 폐경', 다큐프라임'문명과 수학'(2012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대통령상 수상, 2012 백상예술대상 TV부문 교양작품상 수상外 다수 수상), 백년의 유산, 여왕의 교실, 닥터 이방인, 미생, 순정에 반하다, 가화만사성
- [수상경력] 2002 '제19회 영희연극상', 2002 '서울공연예술제 연기상(사물의 왕국)', 2009 '제14회 히서연극상 올해의 연극인상', 2009 '제2회 대한민국연극대상 연기상(코펜하겐), 2012 '제13회 김동훈 연극상', 2013 '제6회 대한민국연극대상 최우수연기상(알리바이 연대기), 2014 '50회 동아연극상 연기상(알리바이 연대기)  


[안무_김용걸]  

- 성균관대학교 체육대학 무용학과 졸업
- 국립발레단 주역으로 활동 
- 프랑스 파리 국립오페라 발레단 솔리스트로 활동 중 종신 단원 사임 
- “김용걸과 친구들“, “에뚜왈 발레 갈라” 예술 감독
- 국립발레단 50주년 기념행사 준비위원, 국립발레단 자문위원
- 한국영재교육원 무용분야 주임교수
- 서울 한강 페스티벌, 몬스터 발레, work 시리즈 안무, 2016 이탈리아 COMO CITTA DELLA MUSICA 초청공연, 모스크바 국제 발레 콩쿨 동상, 한국 발레 협회 신인상, 파리 국제 발레 콩쿨 듀엣부문 금상, 문화훈장 화관장 수훈
- 현, 예술의 전당 자문 위원, 한국예술종합학교 실기과 교수


[무용_김용걸 댄스 시어터]  

엄격한 기본을 베이스로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교육 되어지는 발레베이직을 바탕으로 발레가 시도할 수 있는 움직임과 표현의 확장성을 관객과 연기하는 예술가들이 함께 공유하며, 즐길 수 있는 작품을 지속적 창작 작업을 통해 한국 창작발레의 새로운 가능성의 형식을 널리 알리고 함께 공유함을 모토로 하고 있다. 
- 2012 「Work 2」 한국춤비평가협회 작품상, 「비애모」 제1회 강동아트센터 어워드 창작상 / 2013 「Work 2-1」 한국발레협회 올해의 작품상 / 2014 「Inside of Life」 무용예술상 안무상 / 2015 「Inside of Life」 대한민국무용대상 베스트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