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연모음

공유하기

찜하기

2018 교향악축제 -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 일자2018-04-21(토) 17:00
  • 장소 부천시민회관 대공연장
  • 가격
  • 연령초등학생 이상 입장
  • 주최예술의전당
  • 주관부천필
  • 문의02-580-1300
공연소개
* 2018 교향악축제는 예술의전당 주최 공연으로 상세정보 확인 및 예매는 예술의전당 홈페이지 확인 바랍니다.

http://sacticket.or.kr
문의 02-580-1300

지휘: 박영민 
협연: 최나경(플루트) 



[프로그램] 

리버만, 플루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Op.39
L. Liebermann, Concerto for Flute and Orchestra, Op.39

말러, 교향곡 제5번 올림다단조
G. Mahler, Symphony No.5 in c# minor
 
출연자 소개

[지휘 박영민]

지휘자 박영민은 원주시립교향악단의 초대 상임 지휘자를 역임 후 2015년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이하, 부천필)의 제2대 상임지휘자로 위촉받아 현재까지 새로운 부천필 사운드 구축을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여 부천필의 제2의 새로운 도약을 선도하는 것으로 클래식 음악계에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박영민은 2015년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의 상임지휘자로 취임하여 말러의 전곡을 박영민의 스타일로 재해석한 ‘박영민의 말러 시리즈’부터, 프렌치 클래식 시리즈, 월드 클래식 시리즈, R. Strauss 탐구 시리즈, 베스트 클래식 시리즈 등 여러 시대의 폭넓은 음악과 해석의 스펙트럼을 보여주고 있고, 바그너의 전 작품들을 매년 선보이는 ‘바그너의 향연 시리즈’를 시작하여 “진취적인 음악적 도전”과 “다채로운 음악성”, 그리고 “깊이 있는 작품에 대한 통찰력”을 보여주고 있다는 찬사를 받았다. 또한 2016년 5월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로 손꼽히는 음악 페스티벌인 < La Folle Journee Festival >에 부천필과 함께 한국 오케스트라 중 유일하게 공식 초청을 받아 일본 가나자와에서 깊이 있는 해석과 품격 있는 음악성을 보여주어 많은 찬사를 받았다. 
원주시향 재임시 박영민은 시벨리우스 교향곡 전곡 연주를 통해 국내에서는 대중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곡들까지 과감히 선보이며 시벨리우스의 매력적인 음악세계를 널리 알려 찬사를 받았다. 또한 브루크너와 말러 교향곡 등 대작을 선보이며 원주시향의 수준 향상에 크게 기여한 바 있다. 
한편 박영민은 국내 활동과 동시에 유럽과 일본 무대에서도 의미 있는 활동을 지속하여 왔다. 독일, 스페인, 체코, 폴란드, 리투아니아 그리고 일본 등지에서 초청 받아 호평을 받았으며 이러한 폭넓은 활동 경험은 그의 부천필과의 활동에 대한 기대를 한층 더하게 한다. 
2013년 박영민의 독일 브레머하펜 시립 오케스트라와의 공연에 대해 현지 언론은 그의 이름을 유럽무대에서 다시 듣게 될 것이라 극찬한 바 있으며 세계적 명문 체코 브르노 필하모닉을 비롯해 리투아니아 국립교향악단 그리고 안익태 선생이 창단한 스페인의 발레아 군도 심포니(구 마요르카 심포니)를 지휘하였다. 또한 일본의 오케스트라 앙상블 가나자와(OEK)와의 공연한 인연을 바탕으로 2011년에는 원주시향을 이끌고 가나자와 뮤직 페스티발에 초청되어 수차례 공연을 가졌으며, 지금도 일본 굴지의 매니지먼트 아스팬 재팬의 아티스트로 활약하며 일본은 물론 클래식 음악의 새로운 미래로 떠오르는 아시아 무대에서 활발한 활약이 기대되고 있다. 
지휘자 박영민은 서울대 음대 작곡과를 졸업하였으며 동대학원에서 오케스트라 지휘를 전공하여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국립음대를 졸업하고 유명 지휘자들의 단골 코스가 되어 온 키지아나 하계 아카데미를 수료하였다. 그는 지휘자 임헌정을 비롯하여 미하엘 길렌, 정명훈을 사사하였으며 1996년에는 국제 모차르트 재단으로부터 “파움가르트너 메달”을 수상한 바 있다. 또한, 현재 추계예술대학교 음악대학(지휘전공)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부천필의 제2의 도약과 변화를 이끄는 수장으로서 음악에 대한 순수한 열정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연구하며 부드러운 카리스마로 단원들과 교감하며 매 연주회마다 특별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이는 그의 무대가 더욱 기대된다. 


[플루트 최나경]

“플루트의 여신” - 한국일보 
“이시대 플루트의 선구자” - 필라델피아 인콰이어러
`환영하오, 비르투오조 플루트!` - 월간객석
`재스민최(최나경)는 콘서트홀 천장이 다 깨어질듯한 놀라운 연주로 유명하다.` - 영국 신피니뮤직


플루티스트 최나경은 영국의 저명한 클래식 잡지인 신피니 뮤직에서 선정한 ‘역대 10대 최고의 플루티스트’ 명단에 타계한 플루트의 전설 마르셀 모이즈, 줄리어스 베이커, 장-피에르 랑팔을 비롯하여 제임스 골웨이, 엠마누엘 파후드와 나란히 선정되며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 
한국 출신의 건반악기와 현악기 주자들이 세계적으로 활동하던 반면 관악기들이 취악했던 시절, 최나경은 한국인 관악기 주자로서는 최초로 미국 메이저 오케스트라(신시내티심포니, 음악감독 파보 예르비, 경쟁률 187:1)와 유럽 메이저 오케스트라(빈심포니, 음악감독 파비오 루이지, 경쟁률 245:1)에 수석으로 임명되어 세계 플루트계의 패러다임을 바꾸어 놓았으며 한국 관악계에는 이전에는 없었던 전혀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현재 솔리스트로서 주가를 높이고 있는 그녀는 전세계를 누비며 풀타임 솔리스트로 활동하는 유일한 여성 플루티스트로 꼽히며 플루티스트를 꿈꾸는 이들에게 많은 가능성과 희망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 시즌의 하이라이트로는 베를린필하모니에서 베를린심포니와 제야음악회 협연, 잘츠부르크 모차르트 플레이어스와 모차르트 레지던스에서의 협연을 비롯, 피아니스트 로만 라비노비치와 링컨센터 데이비드 게펜홀 (구 에이버리 피셔홀)에서의 리사이틀, 그리고 비엔나, 파리, 뉴욕, 시애틀, 도쿄, 홍콩에서 솔로 리사이틀과 협연을 가진 바 있다. 
모차르트 협주곡집, 플루트 판타지, 클로드 볼링 재즈 모음곡, 모차르트 콰르텟 전집, 텔레만 판타지 전집, 재즈 뮤지션들과의 즉흥 연주집, 파리의 연인 리사이틀 실황 라이브 레코딩 등 7장의 앨범이 발매되었고, 올 시즌에는 파가니니 카프리스를 비롯한 싱글앨범 3장과 전용준 트리오와 작업한 재즈 스탠다드 앨범이 발매 예정이다. 현대음악에도 조예가 있어 마크 레이콕, 데틀레프 글렌에르트, 개리쇼커, 유리엘 밴체스타인, 김택수, 김솔봉, 백영은 등의 곡을 세계 초연해 호평을 받은 바 있으며, 2018년에는 그녀를 위해 쓰여지는 클린트 니드함과 다니엘 도르프의 협주곡도 차례로 올랜도와 뉴욕에서 세계초연이 예정되어 있다. 
음악을 즐기고 전달하는 데에 국경과 장르의 벽은 없다고 생각하는 최나경은, 솔로 리사이틀과 협연은 물론, 실내악과 또한 오케스트라의 객원 수석으로 세계를 누비고 있으며, 플루트라는 악기에 국한되어 있는 레퍼토리의 확장을 위해 바이올린 곡들을 플루트로 편곡하여 자주 연주한다. 그밖에 재즈와 팝, 즉흥연주 등으로 청중들에게 신선함을 주기도 한다. 그녀의 연주는 430만의 조회수에 달하는 유튜브 영상들로도 자주 접할 수 있다. 
올 시즌 주요 공연으로는 뉴욕 클래시컬 플레이어즈의 상주음악가로서 3년동안 매년 새로운 플루트 협주곡을 위촉하여 연주하고, 독일의 저명한 모차르트 페스트에 메인 솔리스트로 초청받아 모차르트 협주곡과 마크 레이콕의 ’재스민 최를 위한 협주곡’을 연주한다. 또한 일본, 타이완, 싱가포르에서 협연을 하고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리는 공식 올림픽 행사에 초청받아 연주하며, 한국에서의 주요 공연으로는 대전시향 신년음악회, 부천필과 교향악축제, 서울스프링 페스티벌, 그리고 세종문화회관의 2018년 상주음악가로 선정되어 한 해 동안 네 번의 특별한 공연을 선사한다. 
2016년부터 대전시 공식 홍보대사로 임명된 최나경은 대전 성모초등학교, 예원학교를 거쳐 서울예고 재학 중, 플루트의 거장 줄리어스 베이커로부터 “커다란 센세이션”이라는 극찬을 받으며 만 16세에 미국 커티스 음대에 전액 장학생으로 입학했고, 이후 그가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4년을 공부하며 거장의 마지막 제자가 되었다. 졸업 후 줄리어드 음대에서 제프리 케이너를 사사했으며, 이후 커티스 음대, 줄리어드 음대를 비롯해 콜번 스쿨, 맨하탄 음대, 인디애나 주립대, 플로리다 대학, 비엔나 음대, 뮌헨 음대 등에서 초청 마스터클래스를 가진 바 있다.